ISP ( In-System Programing ) or SOP (System-on Programing) : 비휘발성 메모리(rom, flash memory 등)를 보드나 시
스템에 장착한 이후에 그 내용물을 프로그래밍 하는 것으로 이 기능이 없을 경우 프로그래밍을 해서 장착을 하여야 한다.
즉 보드에 실장된 채로 프로그래밍 할 수 있는 기능을 얘기한다. 이 기능이 없을 경우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시스템에서 분
리시킨 뒤 프로그래밍해야한다.
JTAG ( Joint Test Action Group ) : 칩 내부에 Boundary Cell을 만들어 이것이 외부의 핀과 일대 일로 연결 되어 프로세
서가 할수 있는 동작을 중간의 cell을 통해 인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하드웨어의 테스트나 연결상
태등을 체크할 수 있다. 즉, 내장 된 상태에서 디버그를 가능하게 한다.
- JTAG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은 핀으로 칩 안에 구성된다.
- TDI (데이터 입력) : Test하기 위한 데이터 신호. TMS에 의해 전이된 TAP state에 따라, TDI가 command/data 가 결정됨
- TDO (데이터 출력) : Test한 결과를 외부에서 모니터링 하기 위한 pin, 이 역시 TAP state에 따라 address/data가 될 수 있음.
- TCK (클럭) : Test clock
- TMS (모드) : Test Mode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
- TRST (리셋)
SPI (Serial Peripheral Interface ) : 동기식 직렬 통신 규격으로 4개의 선으로 이러진 직렬버스라고도 하는데 하나의 master에 여러개의 slave가 붙을 수 있는 형식으로 되어있고 이렇게 여러개 붙어있는 slave를 select 하는 형식으로 통신이 이루어 지게 된다. full duplex 방식
1.SCLK(serial clock:output from master)
2.MOSI(or SIMO master output slave input: output from master)
3.MISO(or SOMI master input slave output: output from slave)
4./SS(Slave select-active low) : 여기서 slave가 n개 있다면 /ss1~ssn 까지를 두어 사용할 slave select 만
low 로 하여 사용
-동기식?비동기식 통신? 일단 둘의 구분 방법은 클럭라인의 유무로 알아볼 수 있으며 클럭라인이 있으면 동기식, 없으면 비동기식, 즉 클럭에 데이터를 동기시켜 보내기 때문에 멀리 보내더라도 데이터의 타이밍 정보까지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비동기식의 경우엔 클럭이 없기 때문에 데이터라인 자체에 타이밍 정보가 들어가게 됨.
-full duplex : 전이중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동시에 일어나는 통신 : 전화기
-half duplex :반이중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차례로 일어나는 통신 : 무전기
-이중이 아닌 단일 통신의 경우엔 한쪽에선 송신만 한쪽에선 수신만 가능 : 라디오
I2C ( Inter Integrated Circuit ) : 2선을 사용하며 하나의 마스터가 여러개의 슬레이브를 관리하는데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서 주로 PCB내부에서 다수의 chip같의 통신에 사용된다.
1.SDA(Serial data) : 데이터 전송
2.SCL(serial Clock) : 클럭 전송
-데이터를 보내는 시작과 끝은 모두 SCL이 H인 상태에서 SDA가 H에서 L로 변하면 시작, L에서 H로 올라가면 끝을 나타내며 이러한 시작과 끝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
'하드웨어설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PI vs I2C (0) | 2015.07.30 |
---|---|
PCB 동박두께(Base Copper clad) 관련 요약 (3) | 2015.05.04 |
watch dog timer (0) | 2015.02.24 |
폰노이만 vs 하버드 아키텍쳐 (0) | 2015.02.24 |
배터리 용량 mAh ? (0) | 2014.12.16 |